어르신의 건강을 위협하는 [낙상]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주위를 살펴서 낙상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1. 실내에서의 낙상예방
응급실을 방문한 손상 환자를 분석한 자료에서 낙상이 전체 손상 환자의 34.7%로 가장 많다.
추락을 제외하고 낙상이 발생한 장소는 집의 거실이 18.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화장실(15.9%), 방이나 침실(15.7%), 계단(15.6%), 옥외 공간(6.6%) 순이다.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추락) 경우는 방이나 침실이 30.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옥외 공간(18.4%), 거실(14.8%) 순이다.
가정 내에서의 낙상은 주로 화장실의 타일, 마루와 방의 장판 바닥같 이 미끄러운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국가건강정보포털).
1) 현관, 계단
① 현관 입구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한다.
② 현관 입구에 보행에 장애가 되는 물건은 치운다.
③ 계단 양옆으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한다.
④ 계단에 논스립을 부착한다.
⑤ 계단에 밝은 조명을 설치한다.
⑥ 현관 입구에 신발을 앉아 신을 수 있도록 간이의자를 준비한다.
2) 거실 및 방
① 걸을 때 바닥에 보행에 지장을 주는 가구, 전기코드 선 등을 정리한다.
② 보행통로에 미끄러운 깔개, 책, 상자, 신문지, 옷 등 넘어질 위험 요소는 치운다.
③ 문턱을 없애거나 경사로를 설치한다.
④ 바닥 타일과 장판은 미끄럼방지 처리가 되어있는 제품을 사용한다.
⑤ 카펫이나 깔개는 밑부분에 미끄럼방지가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⑥ 바닥의 물기는 바로 닦는다.
⑦ 미끄럼방지 양말 또는 실내화를 착용한다.
⑧ 벽, 화장실 입구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한다.
⑨ 바닥과 벽의 색은 확연히 다른 색상의 자재를 사용하거나, 걸레받이, 띠 벽지를 부 착한다.
⑩ 바퀴가 있는 의자나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다.
3) 주방
① 주방 바닥이 젖어있거나 미끄럽지 않게 한다.
② 주방의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꺼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지 않다.
③ 부엌 싱크대나 가스레인지 근처의 바닥에는 미끄럼방지 매트를 깔아 놓는다.
4) 화장실 및 욕실
① 화장실 벽이나 변기 주변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한다.
② 화장실 바닥에 미끄럼방지 매트 또는 스티커 등을 설치한다.
③ 화장실 문 앞 깔개나 카펫은 밑부분이 미끄럼방지 기능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④ 샤워 시 목욕 의자를 사용한다.
5) 침대
① 침대 높이는 침대에 앉았을 때 발바닥이 바닥에 닿을 수 있는 높이로 한다.
② 침대 옆에 자주 사용하는 물품을 둘 수 있는 보조 탁자를 준비한다.
③ 침대 옆에 일어나기 쉽게 기둥형 안전손잡이나 지지대를 설치한다.
④ 침대에서 내려오며 발 딛는 부분에 미끄럼방지 매트를 깐다.
⑤ 잠에서 깨면 갑자기 일어나지 말고 잠시 앉았다가 침대에서 내려온다.
⑥ 침대 바퀴는 항상 고정한다.
6) 조명
① 실내(거실, 방, 화장실)조명은 충분히 밝게 한다.
② 침대에서 손을 뻗어 바로 켤 수 있는 위치에 조명이 준비되어 있거나, 야간에 간접 조명등을 켜 둔다.
③ 현관 입구나 계단 등에는 자동 센서 조명을 설치한다. 조명이 고장난 경우 즉시 수 리한다.
2. 외출 시 낙상예방
1) 의복 및 신발 착용
① 가벼운 옷을 여러 벌 입는다.
② 바짓단이 끌리지 않게 몸에 맞게 입는다.
③ 신발은 발에 잘 맞고 미끄러지지 않으며 끈이 없는 신발을 신는다.
④ 침실에 바퀴없는 의자를 두어 바지나 양말을 신을 때 의자에 앉아 착용한다.
2) 기타
① 안경은 시력에 맞는 것을 착용하고, 깨끗하게 닦아 사용한다.
② 외출 시 지팡이 및 보행보조기 등을 사용한다.
③ 주머니에 손을 넣지 않는다.
④ 외출 경로를 미리 파악하고, 서둘러 움직이지 않는다.
⑤ 양 손에 물건을 들고 걷지 않는다.
[출처] 질병관리청 - 대한보건협회
#아가페방문간호센터 #방문간호센터
#서울방문간호 #인천방문간호 #경기방문간호 #평택방문간호 #천안방문간호 #일산방문간호 #군포방문간호 #안양방문간호 #김포방문간호
어르신의 건강을 위협하는 [낙상]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주위를 살펴서 낙상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1. 실내에서의 낙상예방
응급실을 방문한 손상 환자를 분석한 자료에서 낙상이 전체 손상 환자의 34.7%로 가장 많다.
추락을 제외하고 낙상이 발생한 장소는 집의 거실이 18.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화장실(15.9%), 방이나 침실(15.7%), 계단(15.6%), 옥외 공간(6.6%) 순이다.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추락) 경우는 방이나 침실이 30.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옥외 공간(18.4%), 거실(14.8%) 순이다.
가정 내에서의 낙상은 주로 화장실의 타일, 마루와 방의 장판 바닥같 이 미끄러운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국가건강정보포털).
1) 현관, 계단
① 현관 입구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한다.
② 현관 입구에 보행에 장애가 되는 물건은 치운다.
③ 계단 양옆으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한다.
④ 계단에 논스립을 부착한다.
⑤ 계단에 밝은 조명을 설치한다.
⑥ 현관 입구에 신발을 앉아 신을 수 있도록 간이의자를 준비한다.
2) 거실 및 방
① 걸을 때 바닥에 보행에 지장을 주는 가구, 전기코드 선 등을 정리한다.
② 보행통로에 미끄러운 깔개, 책, 상자, 신문지, 옷 등 넘어질 위험 요소는 치운다.
③ 문턱을 없애거나 경사로를 설치한다.
④ 바닥 타일과 장판은 미끄럼방지 처리가 되어있는 제품을 사용한다.
⑤ 카펫이나 깔개는 밑부분에 미끄럼방지가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⑥ 바닥의 물기는 바로 닦는다.
⑦ 미끄럼방지 양말 또는 실내화를 착용한다.
⑧ 벽, 화장실 입구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한다.
⑨ 바닥과 벽의 색은 확연히 다른 색상의 자재를 사용하거나, 걸레받이, 띠 벽지를 부 착한다.
⑩ 바퀴가 있는 의자나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다.
3) 주방
① 주방 바닥이 젖어있거나 미끄럽지 않게 한다.
② 주방의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꺼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지 않다.
③ 부엌 싱크대나 가스레인지 근처의 바닥에는 미끄럼방지 매트를 깔아 놓는다.
4) 화장실 및 욕실
① 화장실 벽이나 변기 주변에 안전손잡이를 설치한다.
② 화장실 바닥에 미끄럼방지 매트 또는 스티커 등을 설치한다.
③ 화장실 문 앞 깔개나 카펫은 밑부분이 미끄럼방지 기능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④ 샤워 시 목욕 의자를 사용한다.
5) 침대
① 침대 높이는 침대에 앉았을 때 발바닥이 바닥에 닿을 수 있는 높이로 한다.
② 침대 옆에 자주 사용하는 물품을 둘 수 있는 보조 탁자를 준비한다.
③ 침대 옆에 일어나기 쉽게 기둥형 안전손잡이나 지지대를 설치한다.
④ 침대에서 내려오며 발 딛는 부분에 미끄럼방지 매트를 깐다.
⑤ 잠에서 깨면 갑자기 일어나지 말고 잠시 앉았다가 침대에서 내려온다.
⑥ 침대 바퀴는 항상 고정한다.
6) 조명
① 실내(거실, 방, 화장실)조명은 충분히 밝게 한다.
② 침대에서 손을 뻗어 바로 켤 수 있는 위치에 조명이 준비되어 있거나, 야간에 간접 조명등을 켜 둔다.
③ 현관 입구나 계단 등에는 자동 센서 조명을 설치한다. 조명이 고장난 경우 즉시 수 리한다.
2. 외출 시 낙상예방
1) 의복 및 신발 착용
① 가벼운 옷을 여러 벌 입는다.
② 바짓단이 끌리지 않게 몸에 맞게 입는다.
③ 신발은 발에 잘 맞고 미끄러지지 않으며 끈이 없는 신발을 신는다.
④ 침실에 바퀴없는 의자를 두어 바지나 양말을 신을 때 의자에 앉아 착용한다.
2) 기타
① 안경은 시력에 맞는 것을 착용하고, 깨끗하게 닦아 사용한다.
② 외출 시 지팡이 및 보행보조기 등을 사용한다.
③ 주머니에 손을 넣지 않는다.
④ 외출 경로를 미리 파악하고, 서둘러 움직이지 않는다.
⑤ 양 손에 물건을 들고 걷지 않는다.
[출처] 질병관리청 - 대한보건협회
#아가페방문간호센터 #방문간호센터
#서울방문간호 #인천방문간호 #경기방문간호 #평택방문간호 #천안방문간호 #일산방문간호 #군포방문간호 #안양방문간호 #김포방문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