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도뇨는 요도를 통해 삽입되는 소변줄로 일반적으로 방광으로부터 배액되는 소변을 받는 역할을 하는 폐쇄 배액 체계에 미리 연결되어 있거나 도뇨 후에 폐쇄 배액 체계에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유치도뇨관은 단기간 혹은 장기간 동안 도뇨관을 방광 안에 남겨둘 수 잇도록 ballon을 팽창시킬 수 있는 관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유치도뇨의 목적
유치도뇨는 장기간 자연배뇨가 불가능하여 배뇨시킬 때나 회음부 수술 환자의 수술부위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또한 수술 시 방광의 팽팡을 막거나 방광 내를 세척하거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유치도뇨를 하기도 합니다. 시간당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유치도뇨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유치도뇨의 과정
유치도뇨의 과정은 기본적으로 단순도뇨법과 동일하게 준비합니다. 이 때 ballon이 터지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변줄인 도뇨관의 약 5cm까지 윤활제를 바르고 요도에 삽입한 후 소변이 나오기 시작한 지점에 2.5~5cm 정도 더 삽입합니다. 소변줄 삽입 시 심호흡 또는 아~하고 소리를 내면 삽입하기 더욱 쉽습니다. (여자 : 요도구에서 약 4cm, 남자 : 요도구에서 약 20cm)
소변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면 겸자로 막은뒤 준비해 둔 멸균 증류수 10cc를 넣어 ballooning을 합니다. 도뇨관을 당겨 빠지지 않는지 확인한 후 다시 살짝 더 밀어 넣은뒤 도뇨관을 배뇨 주머니에 연결합니다. 환자가 움직여도 당겨지지 않을만큼 여유있게 둔 다음 대퇴 안쪽에 도뇨관을 반창고로 고정시킨뒤 침상보다 낮은 위치에 끈을 묶어 고정시킵니다. 이 때 남자는 배나 허벅지, 여자는 허벅지 쪽이 좋습니다.
단순도뇨 & 유치도뇨 주의사항
단순도뇨나 유치도뇨 중 요로감염은 병원감염의 가장 흔한 형태로 철저한 무균술을 적용하고 감염관리가 철저하게 요구됩니다. 때문에 소변줄인 도뇨관의 크기를 환자에게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환자가 삽입 절차 도중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동이나 노인의 경우 가족이나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자세를 유지하며 폐쇄적 배액 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3시간 마다 소변의 흐름이나 색깔, 냄새를 관찰하고 소변이 고이거나 역류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신경써야하며 소변백을 책상 아래에 두어야 합니다.
유치노됴란?
유치도뇨는 요도를 통해 삽입되는 소변줄로 일반적으로 방광으로부터 배액되는 소변을 받는 역할을 하는 폐쇄 배액 체계에 미리 연결되어 있거나 도뇨 후에 폐쇄 배액 체계에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유치도뇨관은 단기간 혹은 장기간 동안 도뇨관을 방광 안에 남겨둘 수 잇도록 ballon을 팽창시킬 수 있는 관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유치도뇨의 목적
유치도뇨는 장기간 자연배뇨가 불가능하여 배뇨시킬 때나 회음부 수술 환자의 수술부위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또한 수술 시 방광의 팽팡을 막거나 방광 내를 세척하거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유치도뇨를 하기도 합니다. 시간당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유치도뇨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유치도뇨의 과정
유치도뇨의 과정은 기본적으로 단순도뇨법과 동일하게 준비합니다. 이 때 ballon이 터지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변줄인 도뇨관의 약 5cm까지 윤활제를 바르고 요도에 삽입한 후 소변이 나오기 시작한 지점에 2.5~5cm 정도 더 삽입합니다. 소변줄 삽입 시 심호흡 또는 아~하고 소리를 내면 삽입하기 더욱 쉽습니다. (여자 : 요도구에서 약 4cm, 남자 : 요도구에서 약 20cm)
소변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면 겸자로 막은뒤 준비해 둔 멸균 증류수 10cc를 넣어 ballooning을 합니다. 도뇨관을 당겨 빠지지 않는지 확인한 후 다시 살짝 더 밀어 넣은뒤 도뇨관을 배뇨 주머니에 연결합니다. 환자가 움직여도 당겨지지 않을만큼 여유있게 둔 다음 대퇴 안쪽에 도뇨관을 반창고로 고정시킨뒤 침상보다 낮은 위치에 끈을 묶어 고정시킵니다. 이 때 남자는 배나 허벅지, 여자는 허벅지 쪽이 좋습니다.
단순도뇨 & 유치도뇨 주의사항
단순도뇨나 유치도뇨 중 요로감염은 병원감염의 가장 흔한 형태로 철저한 무균술을 적용하고 감염관리가 철저하게 요구됩니다. 때문에 소변줄인 도뇨관의 크기를 환자에게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환자가 삽입 절차 도중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동이나 노인의 경우 가족이나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자세를 유지하며 폐쇄적 배액 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3시간 마다 소변의 흐름이나 색깔, 냄새를 관찰하고 소변이 고이거나 역류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신경써야하며 소변백을 책상 아래에 두어야 합니다.
#경기도군포방문간호 #경기도평택방문간호 #서울방문간호 #서울관악구방문간호 #경기도구리방문간호 #방문간호천안점
#일산방문간호 #김포방문간호 #인천방문간호 #구리방문간호 #남양주방문간호 #군포방문간호 #안양방문간호 #산본방문간호 #천안방문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