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이란?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 고혈압은 대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침묵의 살인마라고 함
정상 범위
| 수축기 혈압 | 이완기 혈압 |
정상 | 120mmHg 미만 | 80mmHg 미만 |
고혈압 전 단계 | 120~139mmHg | 80~89mmHg |
1기 고혈압 | 140~159mmHg | 90~99mmHg |
2기 고혈압 | 160mmHg 이상 | 100mmHg 이상 |
처음 측정한 혈압이 높은 경우, 1일 간격을 두고 두 번 이상 측정.
측정 결과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
본태성 고혈압
- 고혈압 환자의 95% 이상에서 발생
-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심박출량의 증가나 말초 혈관 저항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추측
- 치료 목적 : 적정 혈압을 유지함으로써 고혈압에 의해 발생하는 장기의 손상을 막는것
위험 인자

음주, 흡연, 고령, 운동 부족, 비만, 짜게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등 심리적 및 환경적 요인
속발성 고혈압
원인 질환이 밝혀져 있고, 그게 의해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
- 고혈압 환자의 5% 이하에서 발생
-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혈압도 치료되기 때문에,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속발성 고혈압의 치료 목적
원인 질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고지혈증, 대동맥 축착증 등
관리 방법
1) 음주량 조절
과음을 하면 초기에는 혈관 확장에 의해 혈압이 감소하나 각성 시 혈압이 상승되고 맥박수가 증가되어 심혈관계 사고를 유발
2) 금연
금연은 전체적인 심혈관 질환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수
3) 체중 감량
비만 중 상체 비만은 고혈압과 관계가 있음
체중 1kg 감소 → 혈압 1.6/1.3mmHg 감소
4) 운동
지속적인 운동은 체중감량과 무관하게 5~7mmHg 정도의 혈압을 감소시킴

#경기도군포방문간호 #경기도평택방문간호 #서울방문간호 #서울관악구방문간호 #경기도구리방문간호
#일산방문간호 #김포방문간호 #인천방문간호 #구리방문간호 #남양주방문간호 #군포방문간호 #안양방문간호 #산본방문간호 #천안방문간호
고혈압이란?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 고혈압은 대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침묵의 살인마라고 함
정상 범위
처음 측정한 혈압이 높은 경우, 1일 간격을 두고 두 번 이상 측정.
측정 결과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
본태성 고혈압
- 고혈압 환자의 95% 이상에서 발생
-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심박출량의 증가나 말초 혈관 저항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추측
- 치료 목적 : 적정 혈압을 유지함으로써 고혈압에 의해 발생하는 장기의 손상을 막는것
위험 인자
음주, 흡연, 고령, 운동 부족, 비만, 짜게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등 심리적 및 환경적 요인
속발성 고혈압
원인 질환이 밝혀져 있고, 그게 의해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
- 고혈압 환자의 5% 이하에서 발생
-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혈압도 치료되기 때문에,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속발성 고혈압의 치료 목적
원인 질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고지혈증, 대동맥 축착증 등
관리 방법
1) 음주량 조절
과음을 하면 초기에는 혈관 확장에 의해 혈압이 감소하나 각성 시 혈압이 상승되고 맥박수가 증가되어 심혈관계 사고를 유발
2) 금연
금연은 전체적인 심혈관 질환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수
3) 체중 감량
비만 중 상체 비만은 고혈압과 관계가 있음
체중 1kg 감소 → 혈압 1.6/1.3mmHg 감소
4) 운동
지속적인 운동은 체중감량과 무관하게 5~7mmHg 정도의 혈압을 감소시킴
#경기도군포방문간호 #경기도평택방문간호 #서울방문간호 #서울관악구방문간호 #경기도구리방문간호
#일산방문간호 #김포방문간호 #인천방문간호 #구리방문간호 #남양주방문간호 #군포방문간호 #안양방문간호 #산본방문간호 #천안방문간호